뉴잉글랜드 레볼루션

덤프버전 : (♥ 0)

||




파일:뉴잉글랜드 레볼루션 로고.svg
뉴잉글랜드 레볼루션
New England Revolution
별칭Revs
약칭NE
창단1995년 6월 6일(29주년)[1]
리그 참가1996년(28주년)[2]
소속 리그메이저 리그 사커 (Major League Soccer)
소속 컨퍼런스동부 컨퍼런스 (Eastern Conference)
연고지매사추세츠 주 폭스버러
홈구장폭스버러 스타디움 (Foxborough Stadium, 1996~2001)[A]
질레트 스타디움 (Gillette Stadium, 2002~)[A]
소유주로버트 크래프트 (Robert K. Kraft)
회장브라이언 비엘로 (Brian Bilello)
임시 감독클린트 페이 (Clint Peay)
공식 웹사이트 및 SNS
[미국]
파일:뉴잉글랜드 레볼루션 로고.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우승 / 플레이오프 기록
MLS컵
(0회)
-
컨퍼런스
(5회)
2002, 2005, 2006, 2007, 2014
서포터즈 실드
(1회)
2021
US 오픈컵
(1회)
2007
MLS컵 플레이오프
(16회)
1997, 2000,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3, 2014, 2015, 2019, 2020, 2021
팀 컬러
[ 펼치기 / 접기 ]

팀 컬러
네이비 빨강색 흰색

클럽 기록
최고 이적료 영입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구스타보 보우 (Gustavo Bou)
(2019년, From 클루브 티후아나, €636만)
최고 이적료 방출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조르제 페트로비치 (Djordje Petrović)
(2023년, To 첼시 FC, €1,400만)
최다 출장샬리 죠셉 (Shalrie Joseph), 261경기 (2003-12, 2014)
최다 득점테일러 트웰먼 (Taylor Twellman), 101골 (2002-10)

2022 시즌 유니폼
HOMEAWAY메인 스폰서유니폼 메이커
파일:NE REV 2022 Home.webp파일:NE REV 2022 Away.webp파일:Unitedhealthcare_Logo.png파일:아디다스 로고.svg
1. 개요
2. 상세
3. 선수 명단
4. 성적
4.1. 2017 시즌
4.2. 2018 시즌
4.3. 2019 시즌
4.4. 2021 시즌
4.5. 2022 시즌
5. 홈구장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메사추세츠보스턴 광역지역을 연고지로 한 MLS 축구팀. MLS 원년 프랜차이즈 10개팀 중 하나이다[3].

뉴욕 레드불스와 더불어 원년 멤버 동부 컨퍼런스 팀들 가운데 유이하게 MLS 컵 우승 기록이 없다. 이게 참 부끄러운 일인게 자신들 보다 2년 늦게 리그에 가입한 시카고 파이어도 리그 가입년도에 우승했고, 심지어 2000년대 초반에 리그에 가입한 애틀랜타 유나이티드토론토 FC 마저 들어본적이 있는 MLS 컵을 원년 멤버라는 두팀은 지금까지 들어올리지를 못한 것이다. 아직 동부의 상당 팀들이 컵을 들어보지 못했으나 이들은 적어도 리그 가입년도가 늦었다는 변명이라도 할 수 있지(게다가 원년 팀들은 적어도 한번 이상은 했다) 이 두 팀들은 거의 27년을 컵을 올리지 못하고 지내고 있다. 서부 컨퍼런스에서 댈러스가 유일하게 컵 없는 팀이라는 점을 고려해봐도 이 두팀의 컵 가뭄은 정말 심각하다[4].


2. 상세[편집]


파일:뉴잉글랜드 레볼루션 로고(1995~2021).svg
2020년까지의 로고

구단주는 스포츠, 부동산 관련 그룹인 '크래프트 그룹'의 회장이기도 한 로버트 크래프트다. 참고로, 크래프트 하인즈와는 전혀 상관이 없다.

레볼루션이라는 팀명은 독립혁명과 관련이 깊은 미국의 뉴잉글랜드 지역을 의미한다. 그렇다보니 홈 경기에서 득점할 경우 독립혁명군으로 분장한 응원단들이 총을 발포한다.

자기 지역에 스포츠팀이 있으면 열화와 같은 성원을 보내는 보스턴의 팬들을 보유하고 있지만 전투력은 아직 레드삭스, 패트리어츠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무엇보다 해당 팀이 보스턴 시내에 경기장을 지어달라고 보스턴 시에 간절히 부탁했음에도 불구하고 보스턴시는 '2030년 쯤 되면 생각해볼게' 라는 대답 등으로 완전히 지역급으로 무시당하며 찬밥 취급을 받고있다. 때문에 실외 스포츠 팀인데도 보스턴 셀틱스보스턴 브루인스 같은 실내 스포츠팀들의 평균 관중 수 하고 비슷한 상황이다. 심지어 이 팀의 로고는 1995년 창단 한 이후로 한번도 안 바뀌었다.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MLS를 대표하는 콩라인이다. 미국의 FA컵인 라말 헌트 US 오픈컵 우승을 2007년에 차지하긴 했지만, MLS컵 결승전에 5회 진출해서 모두 패배했다. 그것도 모두 골 하나 차이로 패배하거나, 승부차기까지 가서 패배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미국 국내 축구 팬들은 뉴잉글랜드를 끊임없이 까며, 보스턴 소재 4대 스포츠팀들이 모두 2000년대 들어 우승[5]을 한 번씩은 경험했기 때문에 후발주자로서 언젠가는 우승을 차지해야하는 상황이다[6].

MLS 프랜차이즈 중에서 유일하게 출범 원년에 사용한 로고를 변경하지 않고 사용하여 촌스러운 팀 로고라는 평가도 받았지만, 2021년에 새로운 엠블럼을 발표함으로써 모든 MLS 구단이 방패 형태의 엠블럼을 사용하게 되었다.

3. 선수 명단[편집]


뉴잉글랜드 레볼루션 2023 시즌 스쿼드
등번호국적포지션한글 성명로마자 성명생년 월일비고
2파일:미국 국기.svgDF데이비드 롬니David Romney1993.06.12
4파일:미국 국기.svgDF헨리 케슬러Henry Kessler1998.06.25
5파일:카메룬 국기.svgMF윌프리드 캅툼Wilfrid Kaptoum1996.07.07
6파일:미국 국기.svgMF스콧 콜드웰Scott Caldwell1991.03.15홈그로운
7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FW구스타보 보우Gustavo Bou1990.02.18
8파일:미국 국기.svgDF맷 폴스터Matt Polster1993.06.08
9파일:알바니아 국기.svgFW자코모 브리오니Giacomo Vrinoni1998.10.15지정선수
10파일:스페인 국기.svgFW카를레스 힐Carles Gil1992.11.22지정선수
주장
12파일:미국 국기.svgFW저스틴 레닉스Justin Rennicks1999.03.20홈그로운
13파일:브라질 국기.svgMF마시에우Lucas Maciel Felix2000.01.18
14파일:미국 국기.svgFW조지 알티도어Jozy Altidore1989.11.06
15파일:미국 국기.svgDF브랜던 바이Brandon Bye1995.11.29
18파일:가나 국기.svgMF이매뉴얼 보아텡Emmanuel Boateng1994.01.17
19파일:가나 국기.svgFW라티프 블레싱Latif Blessing1996.12.30
23파일:미국 국기.svgDF조너선 벨Jonathan Bell1997.08.26
24파일:미국 국기.svgDF데환 존스DeJuan Jones1997.06.24
25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MF아르노르 잉비 트라우스타손Arnór Ingvi Traustason1993.04.30
26파일:미국 국기.svgMF토미 맥너마라Tommy McNamara1991.02.06
27파일:콜롬비아 국기.svgFW딜런 보레로Dylan Borrero2002.01.05
32파일:콜롬비아 국기.svgDF크리스티안 마플라Christian Mafla1993.01.15
35파일:미국 국기.svgDF콜린 버퍼스Collin Verfurth1996.03.08
36파일:미국 국기.svgGK얼 에드워즈 주니어Earl Edwards Jr.1992.01.24
72파일:미국 국기.svgMF데이미언 리베라Damian Rivera2002.12.08홈그로운
88파일:미국 국기.svgDF앤드루 패럴Andrew Farrell1992.04.02
출처: 뉴잉글랜드 레벌루션 공식 홈페이지, 마지막 수정 일자: 2021년 7월 6일




4. 성적[편집]


년도리그 순위플레이오프 성적대륙컵 성적컵대회 성적
19965위 (컨퍼런스), 9위 (리그)---
19974위 (컨퍼런스), 8위 (리그)8강-16강
19986위 (컨퍼런스), 10위 (리그)---
19995위 (컨퍼런스), 10위 (리그)---
20002위 (컨퍼런스), 7위 (리그)8강-32강
20013위 (컨퍼런스), 9위 (리그)--준우승
20021위 (컨퍼런스), 5위 (리그)준우승--
20032위 (컨퍼런스), 3위 (리그)컨퍼런스 결승1라운드8강
20044위 (컨퍼런스), 9위 (리그)컨퍼런스 결승-16강
20051위 (컨퍼런스), 2위 (리그)준우승-16강
20062위 (컨퍼런스), 3위 (리그)준우승1라운드8강
20072위 (컨퍼런스), 4위 (리그)준우승-우승
20083위 (컨퍼런스), 4위 (리그)컨퍼런스 준결승-준결승
20093위 (컨퍼런스), 7위 (리그)컨퍼런스 준결승조별라운드16강
20106위 (컨퍼런스), 13위 (리그)---
20119위 (컨퍼런스), 17위 (리그)---
20129위 (컨퍼런스), 16위 (리그)--3라운드
20133위 (컨퍼런스), 7위 (리그)컨퍼런스 준결승-8강
20142위 (컨퍼런스), 5위 (리그)준우승-8강
20155위 (컨퍼런스), 11위 (리그)녹아웃 스테이지-4라운드
20167위 (컨퍼런스), 14위 (리그)--준우승
20177위 (컨퍼런스), 15위 (리그)--준결승
20188위 (컨퍼런스), 16위 (리그)--4라운드
20197위 (컨퍼런스), 14위 (리그)1라운드-16강

MLS컵에서만 5번의 준우승에 US 오픈컵 준우승 2회, 서포터즈 실드 준우승 1회, 컨퍼런스에서 준우승도 2회나 된다.

4.1. 2017 시즌[편집]


지난 시즌과 별반 다를 바 없는 성적을 거두며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하였다. 컵대회에서는 준결승에서 탈락했다.


4.2. 2018 시즌[편집]


11승 10무 13패로 8위를 기록하면서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4.3. 2019 시즌[편집]


2승 2무 8패에 머무른 실망스러운 성적을 보여준 브래드 프리델 감독이 경질되었다. 그리고 새 감독으로 2002년 월드컵에서 미국을 8강까지 이끌었던 브루스 아레나를 감독으로 선임했다. 브루스 아레나 감독이 본격적으로 지휘봉을 잡은 이후로 LAFC에 패배한 것을 제외하면 한 차례도 패배를 하지 않는 무서운 상승세를 보여주면서 플레이오프 진출권에 진입했다.


4.4. 2021 시즌[편집]


22승 7무 4패로 압도적인 승점으로 서포터즈 쉴드(정규리그 우승->다음시즌 북중미 클럽 대항전 진출권 확보)를 확보 했다. 동부 컨퍼런스 1번시드를 확보하고 MLS Cup(플레이 오프) 바이위크를 획득 했다. (21.11.1 기준) 올해가 MLS Cup 우승 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지만 동부 컨퍼런스 준결승전에서 뉴욕 시티 FC에게 승부차기에서 패배하고 만다!!![7][8]


4.5. 2022 시즌[편집]


3라운드까지 1승 1무 1패를 기록했으나 4라운드에서 신생팀인 샬럿 FC한테 1:3으로 패하며 샬럿 FC의 창단 첫 리그 승리의 제물이 되고 말았다.

지난 시즌, 서포터즈 실즈 수상 팀이라는 전력이 무색하게 초반부터 무기력한 모습으로 팬들을 실망시키더니 결국 플레이오프 진출에도 실패해 초라하게 시즌을 마감했다.

5. 홈구장[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질레트 스타디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GilletteStadiumMLS.png


6. 둘러보기[편집]


파일:KSE_Primarytransparent.png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width=17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ew_England_Patriots_logo.svg.png ||<width=170> 파일:New_England_Revolution_Crest.png ||<width=170> 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 ||<width=170> 파일:업라이징 아카데미.png ||
||<rowbgcolor=#e6e6e6,#191919> 뉴잉글랜드 패트리어츠 || 뉴잉글랜드 레볼루션 || 보스턴 업라이징 || 업라이징 아카데미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0 09:53:12에 나무위키 뉴잉글랜드 레볼루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 원년 구단[A] A B NFL 뉴잉글랜드 패트리어츠와 공용[3] 로스앤젤레스 갤럭시, DC 유나이티드, 콜럼버스 크루 SC, 스포팅 캔자스시티, 뉴욕 레드불스, 뉴잉글랜드 레볼루션, 산호세 어스퀘이크스, FC 댈러스, 콜로라도 래피즈, 그리고 지금은 해단되고 없어진 탬파베이 뮤티니의 총 10개 구단이다. 이중 로스앤젤레스, DC, 콜럼버스, 뉴잉글랜드, 산호세, 콜로라도가 원년 멤버 당시의 팀명을 유지한 팀들이고 나머지는 계명하였다.[4] 그나마 뉴욕은 사정이 좀 나은게 뉴욕 시티 FC가 2021년 시즌 MLS 컵을 들어올려 축구 무관 지역이란 딱지를 땠지만 뉴잉글랜드는 유일한 미 북동부 지역을 대표하는 팀임에도 현재진행형이라는 점이다.[5] 레드삭스 2004, 2007, 2013, 2018 / 패트리어츠 2001, 2003, 2004, 2014, 2016, 2018 / 셀틱스 2008 / 브루인스 2011[6] 그나마 다행인게 같은 원년 동기인 뉴욕 레드불스FC 댈러스 역시 아직까지 MLS컵 우승은 못했다. 단 또다른 동기생인 DC 유나이티드는 총 4회 우승으로 LA 갤럭시에 이은 최다 우승 2위이다.[7] 특히 뉴욕 시티 FC의 마지막 주자였던 알렉산드르 카옌스는 2021 MLS컵에서도 마지막 주자로 나서 역시 성공, 팀의 컨퍼런스 결승 진출과 리그 우승을 마무리하는 진기록을 보유하게 되었다.[8] 게다가 이렇게 자신들을 떨궈내고 MLS컵 결승까지 진출한 뉴욕 시티 FC는 MLS 컵까지도 우승해버려 심기를 불편하게 만들었다.